너무나 많은 경영자들이 기반 사업을 소생, 회복시켜 강화하는 어려운 전투에 나서려고 하질 않거나 너무나도 빨리 포기해 버린다. 어려웠던 시기인 1980년대에 IBM은 항상 잘해 온 일, 즉 강력한 대형 컴퓨터를 만드는 일에서 관심을 돌려 전화교환 회사(ROLM)을 인수했다. 1980년대에 신용카드와 관광사업이 부진해지자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회장은 케이블 TV, 오락, 출판 사업에 진출하려고 애썼다. 물론 어떤 사업에도 성공하지 못했다. 세계 굴지의 식품 회사인 나비스코는 1985년 담배 회사를 매입했다. 14년후 다시 담배 회사를 분리시켰다. 담배 회사 매입의 장기적 결과는 식품 회사의 쇠퇴뿐이었다.

이것은 기업이 핵심 역량에서 벗어날 때 흔히 일어나는 일이다. 경쟁자들은 이와 같은 초점 결여에 환호하며 그 틈을 이용해 번창한다. 그리고 초점이 결여된 기업은 결국 더 깊은 수렁에 빠진다.

대부분의 경우 한 기업의 경쟁력은 그 기반 사업에 있다. 기존 사업의 방향을 재조정하고 거기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는 일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장담하건대, 그 기업을 울타리 너머로 집어던져 그 곳의 전혀 새로운 환경 속에서 성공시키는 것보다는 훨씬 쉬운 일이다. 오래된 상식은 여전히 진리다. 한 우물을 파라. 당신을 파티에 데려온 파트너와 춤을 추어라. 진정 위대하고 진정 성공하는 기업은 끊임없이, 때로는 힘겹게 기반 사업을 갱신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사실을 역사가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물이 얼마만큼 차가운지, 얼마만큼 깊은지도 모르고 낯선 풀장에 텀벙 뛰어들진 않는다.


루이스 거스너, 「 코끼리를 춤추게 하라 (Who Says Elephants Can't Dance?) 」
2004/06/20 04:07 2004/06/20 04:07

우리의 장기 투자자들은 그 결과에 만족하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미국 실업계에서 가장 높고 지속적인 순투자 수익으로 그들에게 보답해 왔기 때문이다. 1977년부터 1987년까지 투자자에 대한 우리의 연평균 순투자수익은 46퍼센트였다. 그리고 1991년 일시적인 경기 침체 속에서도 우리는 32퍼센트 이상의 순투자수익을 기록했다.

짐작컨대 경영진들 - 우리 회사처럼 커다란 규모의 회사를 경영하는데 시간을 보내는 모든 사람들 - 을 괴롭히는 것은 자기가 맡고 있는 투자자들의 거래 계좌를 항상 크게 동요시키고 있는 자금 책임자들이다. 아다시피 주가가 40달러 내지 42달러로 올라가면 그들은 그 곳에 뛰어들어와서는 이렇게 말하는 것이다. " 이것 보십시오. 이걸 팔아치웁시다. 왜냐하면 이건 너무 올랐으니까요. 과대평가된 주식이란 말입니다. " 그런데 나로서는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우리의 회사를 잘 경영하고 있는 한, 우리가 우리의 사람들과 고객들을 제대로 관리하고 있는 한 우리는 성공을 계속할 것이다. 물론 거기에는 이러한 근본적인 것들을 스스로 판단하는 관찰력 및 통찰력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만약 내가 <월 마트>의 주식을 가지고 있거나 그 주주가 되려고 생각하고 있다면, 나는 10개의 <월 마트> 상점에 가서 그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볼 것이다. " 일하기가 어떻습니까? 회사에서 여러분을 어떻게 대해 줍니까? " 그들의 대답이야말로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모든 것들을 내게 알려 줄 것이다.


샘 월튼, 「 샘 월튼 : Made in America 」
2004/06/20 04:06 2004/06/20 04:06

주식투자자가 범하기 쉬운 실수중 가장 큰 것 하나를 지적한다면 주가가 올랐을 때 그 투자는 성공적이라고 믿는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흔히 주당 5달러에 매입한 것이 6달러로 올라가면, 그것을 산 것이 마치 자기의 똑똑함을 증명이라도 하는 것처럼 안주하려 든다. 물론, 그런 경우 오른 가격에 재빨리 처분하여 상당한 이익을 남길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와 같이 유리한 상황에서는 팔지를 못한다. 오히려 가격이 올랐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투자가치가 있음을 확신하게 된다. 결국, 주가가 내려가서 투자가 잘못되었음을 알 때까지 그 주식을 갖고 있게 된다. 선택의 여지가 있다면 사람들은 10달러에서 12달러로 오른 주식은 갖고 있고 10달러에서 8달러로 떨어진 것을 팔아버린다. 그리고 나서 자기 스스로 " 성공주만 남겨두고 실패주는 정리했다 " 고 말한다.

그러한 일이 바로 1981년 차파타(Zapata)에서 벌어졌다. 에너지붐이 절정을 이룰 때 석유주식을 갖고 있다는 것은 에틸사(Ethyl Corp.) 주식을 보유하는 것보다는 틀림없이 훨씬 유쾌한 일이었을 것이다. 그 당시 에틸사 주식은 주요 제품인 휘발유용 납첨가제에 대한 환경보호국(EPA)의 규제로 소위 '짓밟힌 개'로 전락한 종목이었다.

그러나, 그렇게 좋아보이던 주식은 35달러에서 2달러로 내려가 빅 딥퍼 (Big Dipper;'국자' 모양을 이루는 북두칠성을 일컫는말. 즉, 북두칠성만큼이나 큰 국자. 여기서는 내려갈대로 내려간 주가를 회복시킬 수 있는 어떤 큰 영향력을 빗대어 표현한 것임) 를 갖고 퍼부어도 구제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한편 에틸사는 특수화학사업부문에서 뛰어난 성과를 올렸으며, 해외에서의 사업성과도 개선되었다. 또한 보험사업부문에서도 빠른 성장을 지속해 갔다. 그 바람에 에틸주식은 2달러에서 32달러로 껑충 뛰어 올랐다.

사람들은 " 보란말이야, 두 달 새에 20%나 올랐어. 진짜 성공주를 잡은거야 " 라고 하든가, 혹은 " 끔찍하군, 두 달만에 20%나 까먹다니…… 정말 잘못 골라 잡은거야 " 라고 말하는데 아마도 주가와 전망을 혼동하고 있는 데서 나온 말이 아닌가 한다. 20%의 이익을 바라는 단기매매자들이 아닌 한 그러한 단기적 팡파레는 전적으로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종목을 산 후 겪게 되는 주가의 등락현상은 다만, 동일 상품에 대해 더 또는 덜 지불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었음을 말해줄 뿐이다.


피터 린치, 「 월가의 영웅 」
2004/06/20 04:05 2004/06/20 04:05

« Previous : 1 : ... 406 : 407 : 408 : 409 : 410 : 411 : 412 : 413 : 414 : ... 429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