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28

2010/05/28 21:59 / My Life/Diary
80년대는 독재의 타락과 공포로 말하자면 더할나위없이 극악한 외관을 취하고 있었지만, 올림픽이라는 묵시록과 더불어, 6ㆍ70년대의 독재의 명분을 성립시켰던 부가 개화되는 시기이기도 했던 것이다. 따라서 새롭게 축적된 부의 보편화를 향유하고자 하는 중산시민계급이 형성되는 시기이기도 했던 것이다. 6ㆍ29는 바로 이들의 작품이다.

6ㆍ29선언까지 밀고 나갔던 역사의 열기는 표면적으로는 의식화시대를 열었던 학생들의 과격한 진보성에 의하여 주도된 것이었지만 사실 6월의 거리로 뛰쳐나온 것은 브루칼라 아닌 화이트칼라였고 도시공장노동자 아닌 소시민 뿌띠부르죠아 직장인들이었다. 다시 말해서 6ㆍ29라는 사태 그 자체가 새로이 부의 맛을 보기 시작한 중산계층이 지나치게 원시적 독재의 외관을 지님으로써 발생하는 사회적 부조리의 개선을 요구하는데서 성립시킨 보수대타협이었던 것이다.

즉 돈을 버는데 어느 정도 불가결한 합리성을 요구하는 수준의 보수성, 그러한 보수성을 애호하는 중산층에 의하여 쐐기박은 역사의 한 단락이요, 타협이었던 것이다.

ㅡ 김용옥,『도올세설』(1990), pp.140-141

현대자동차 정리해고를 수용할 당시 구내식당 아주머니들이 그 대상이 되었다. 외주를 주려고 이미 계획하던 일이라며 노조도 동의해 주었다. 그 외주는 노조가 받기로 대강 합의했다. 그러자 식당 아주머니들은 제일 힘이 약한 사람들을 이렇게 하느냐고 항변했다. 나중에 현대자동차 경영이 좋아져 많은 노동자들이 복직했지만 구내식당 여성노동자들은 계속 외주업체 직원으로 남게 되었다.

… 그들은 몇 년 동안 투쟁했지만 끝내 소망을 이루지 못했다. ㅡ pp.155-156


20년 정치인생을 돌아보았다. 마치 물을 가르고 달려온 것 같았다. 세상을 조금이라도 바꾸었다고 믿었는데, 돌아보니 원래 있던 그대로 돌아가 있었다. 정말로 세상을 바꾸는, 사람 사는 세상을 만드는 길이 다른 데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대통령은 진보를 이루는 데 적절한 자리가 아니었던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도대체 누가, 무엇으로,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 것일까?

ㅡ 노무현ㆍ유시민,『운명이다』(2010), p.332

이건희에게 227억 원 배임죄를 새로 확정했으면서도 형량은 추가할 수 없다는 파기환송심을 끝으로 삼성 비리를 둘러싼 주요 법정 공방은 일단락됐다. 사제단이 서울 제기동 성당에서 삼성 비리에 관한 첫 기자회견을 연 게 2007년 10월 29일이니까, 만 22개월이 걸린 셈이다.

결과적으로 이건희 일가는 삼성 경영권 승계를 둘러싼 법적 논란에서 풀려났으며, 주요 비리에 대해 면죄부를 받았다. 차명으로 관리하던 자산을 실명화하는 성과까지 거뒀으니, 얻은 게 많은 셈이다. 그리고 삼성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돈을 받았던 공직자들은 아무도 조사받지 않았다. 그들 가운데 일부는 이명박 정부에서도 출세를 거듭했다.

반면, 사제단 대표인 전종훈 신부는 천주교서울대교구로부터 무기한 안식년 발령을 받았다. 삼성 비리에 대해 1심 법원이 면죄부 판결을 내린 직후였다. 사제단 고문인 함세웅 신부 역시 보좌 신부나 수녀가 없는 작은 성당으로 발령이 났다.

ㅡ 김용철,『삼성을 생각한다』(2010), pp.115-116
2010/05/28 21:59 2010/05/28 21:59
TAGS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Trackback RSS : http://www.fallight.com/rss/trackback/1956

Trackback ATOM : http://www.fallight.com/atom/trackback/1956


« Previous : 1 : ... 286 : 287 : 288 : 289 : 290 : 291 : 292 : 293 : 294 : ... 1287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