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여신도 시주로 ...
다시 보는 숭산 스님 전법 이야기 2



- 일 여신도 시주로 셋방법당 청산 홍법원 개설 -
- “조총련과 손잡았다”모함 남산의 조사 받기도 -

“행원스님 계세요”
“누구시요”
“저, 고바야시예요”
고바야시 보살은 행원스님을 찾아와 한국의 참선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참선을 배우겠다는 그녀의 의지가 행원 스님의 일본 포교에 큰 도움을 주게 됐다. 그녀는 스스로 수행을 게을리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주변의 친구들을 행원스님과 인연 지어주는데 적극적이었다.

어느날 고바야시보살이 두 명의 교포 여인을 데리고 왔다. 나까노상과 노야마상이 그들인데 그 두 한국 교포는 일본에서 한국 신도가 모이는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 사람들이 모이니 법회도 잘됐다. 참선이란 무엇인가. 왜 하는 것인가. 무엇을 구하는 것인가. 주로 참선과 관련한 주제로 법회를 이끌었다.

“스님, 이제 넓은 공간이 필요합니다”
신도들이 먼저 제의한 것이 큰 절을 세우자는 것이었다.

“좋은 생각이지만 아직 경제력이 닿지 않으니 좁은대로 지냅시다. 법당이 크다고 수행이 잘 되는 것도 아니고요”
“그래도 사람들이 편히 앉아 참선도 하고 법문도 들으려면 큰 곳으로 옮겨야 해요. 무슨 방법이 있을 겁니다”
노야마상이 나서서 큰 절로 옮기는 일을 추진해 보겠다더니 어느날 기분이 좋은 표정으로 스님을 찾아왔다.

“제 남편이 3백만엔을 내기로 했습니다. 이제 좀 큰 곳으로 갈 수 있을 것 같아요”
행원스님은 신도들의 성의에 고마움을 표시하고 집을 옮기기로 했다. 이렇게해서 새롭게 전법의 터전을 잡은 곳은 동경의 문경구 충일이란 곳이었다. 고오라깽야구장 뒤편에 제법 큰 집이 하나 비어 있었는데 1천5백만엔이나 있어야 구할 수 있었다. 노야마상의 남편이 시주한 3백만엔을 한국은행에 넣고 1천5백만엔을 융자 받아 그 집을 인수했다. 일본으로 건너와 셋방법당을 청산하고 본격적으로 홍법원(弘法院)을 세우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 집은 수리할 곳이 많았다. 2층의 그 집은 상하 70평이었고 윗층의 다다미방 6개를 다 터서 법당으로 만드는데만 75만엔이 들었다. 수리비는 나까노 보살이 냈다.

어쨌거나 새로운 법당이 마련됐다. 어수선한 일본 불교에 본격적으로 한국 불교를 전파할 수 있는 중요한 법당이 생긴 것이다.

“다 여러분들의 덕분입니다. 이제 이 법당에서 많은 사람들이 견성(見性)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합시다” 행원스님은 신도들과 기쁨을 나누며 다시금 포교 사업의 힘겨움과 보람을 느꼈다.


그러나 홍법원에서의 생활이 쉬운 것은 아니었다. 신도들의 집을 찾아가 불공을 해주지 않으면 융자금을 갚을 길이 없었다. 홍법원에서는 참선법회를 계속 열어 갔으며 신도들도 늘어났지만 한국에서 온 유학생들도 여러명 찾아 왔다. 인환스님(현 동국대 교수)이나 김지견법사(현 정신문화연구원 교수) 이영자씨(현 동국대 교수)등이 홍법원에 인연을 맺어 유학생활을 했다. 그들은 행원 스님에게 있어 든든한 식구들이기도 했다.


한국과는 달리 일본의 불교는 귀족적인 것과 화려한 의식을 좋아했다. 그런 영향때문에 행원스님의 초기 전법은 어려움이 따랐지만 홍법원을 세운 뒤로는 독자적인 법회를 유지해 나갈 수 있었다.
홍법원이 안정되려 할 때쯤 행원스님은 매우 언짢은 모함을 받았다.


‘행원스님이 조총련으로부터 2천만엔을 받아서 일본에 절을 지었다’는 터무니 없는 모함이었다. 그것도 일본이 아닌 한국의 정보부에 그 모함이 직접
전달된 것이다.
당시 서울의 ‘남산’이라면 무서운 곳이었다. 군사정권 아래의 중앙정보부가 ‘남산’으로 별칭되고 있었는데 그곳은 초법적인 곳이기까지 했던 것이다.
서울에 머무는 동안 남산에서 한 사람이 찾아 왔다. 행원스님은 홍법원을 세운뒤 동경과 서울을 자주 왕복했었다.


“스님, 저는 그 말이 진실이라고 생각지 않습니다만 조사가 불가피합니다”
“무슨 말입니까?”
“스님에 대한 투서가 들어 왔는데요, 일본서 조총련과 손을 잡았다고…”
“나는 모르는 일이오”
“자세한 내막을 말씀해 주시지요. 스님”
“아는 것이 없으니 투서한 사람에게 자세한 내막을 들어 보시구려”
그 직원은 결국 스님의 요구대로 투서한 사람과 그 내용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모함이오. 내게 증거가 있으니 보시겠소”
행원스님은 일본 홍법원을 사기위해 은행 융자를 얻은 영수증등을 보여주었다.


결국 ‘남산’의 직원은 “그럴줄 알았어요…”라며 돌아가고 말았다.
이같은 모함이 생긴 것은 일본내에 불교를 이용해 발판을 세우려는 재가자들의 장난에서 시작된 것이었다. 어쨌든 그들은 실패했다. 일본에 가서 투서한 사람을 만날 기회가 있었다. 행원스님은 시치미를 떼고 사정 얘기를 했다.
“이런 때려 죽일놈이 있습니까. 어떤 놈이 스님을 그런 지경으로 모함했답니까…”


투서한 장본인의 흥분된 목소리가 오히려 측은하게 들렸기 때문에 행원스님은 더이상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
일본 홍법원은 계속 번창했다. 제자들은 참선을 곧잘 했으며 몸과 마음에 수행자의 티를 갖고 있었다. 각종 행사나 단체의 모임에서도 행원스님을 초청했다.


2차 대전후에 생겨난 신흥종교와 전통불교의 혼돈 속에서 한국의 선불교를 전하는 일이 결실을 맺고 있었다.
그리고 또 다른 나라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렸다.
2004/12/02 17:28 2004/12/02 17:28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Trackback RSS : http://www.fallight.com/rss/trackback/124

Trackback ATOM : http://www.fallight.com/atom/trackback/124


« Previous : 1 :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 59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