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를 단련하다

2004/10/20 05:06 / My Life/Diary
《뇌를 단련하다》(2004, 청어람미디어) 를 읽다.

다치나바 다카시 지음
이규원 옮김



「학창시절에는 그렇게 누가 더 큰지, 발돋움을 하면서 키재기를 하는 듯한 설익은 논쟁을 벌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발돋움이라도 해서 키를 재보지 않으면 자기 키가 얼마나 되는지 알지 못합니다. 내가 사실은 뭘 알고 뭘 모르는지를 알지 못합니다.」 (p.23)


「먼저 사상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를 알라는 것입니다. 특정한 사상은 종종 특정한 사람에게 무서운 흡인력을 발휘합니다. 그런 사상을 너무 이르게 만나버리면 다른 것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게 됩니다. 블랙홀로 빨려드는 별처럼 평생 거기에서 헤어나지 못합니다. 흔한 말로 폭 빠져버린 상태가 되는 것이지요. 특정 종교사사에 깊숙이 들어간 사람이 대개 그렇습니다. 옴이나 통일교 같은 신흥 종교뿐만 아니라 기독교 같은 유서 깊은 정통종교도 모두 그렇습니다. 일단 빠져들면 자기가 믿는 것만이 진리며 정의고 다른 것들은 다 사이비고 허위고 악의 덩어리라고 믿게 됩니다.



그런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절대적 진리 따위는 없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물론 '절대적 진리는 있을지도 모른다. 없다고 단정하는 것 자체가 도그마 아니냐'는 생각도 있을 법합니다. 그렇습니다. 내 말은 최종적으로는 그렇게 믿는 수밖에 방법이 없다는 정도의 뜻입니다.

과거에도 '이것이 절대 진리'라고 멋대로 주장하는 사상이 여럿 있었지만, 그것이 절대라는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한 것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저들 나름대로는 증명이랍시고 한 적은 있지만 그것은 애초부터 믿었던 사람이 아니라면 납득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아마 없겠지요. 이러한 경험과 예측을 근거로 절대 진리는 없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 (p.27)


「지의 전승은 단순한 전승이어서는 안 되며 늘 '업 투 데이트 up to date'한 것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경신 작업이 필요합니다. 지의 유지입니다. 그러나 거기에만 머물면 안 됩니다. 끊임없이 새로운 지를 보태어 지의 총체를 보다 크고 보다 견고한 것으로 만들어 가는 지의 확대재생산 과정으로 이끌어가야 하는 것 입니다.」 (p.58)


「교실에서 가르치는 것은 아우트라인뿐이고 나머지는 스스로 알아서 하지 않으면 따라가질 못합니다. 대학이란 대체로 그런 곳입니다. 교수가 뭔가를 가르쳐주는 곳이 아니라 스스로 배우는 곳입니다. 스스로 배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배우는 곳입니다.교실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극히 일부이며 나머지는 교수나 친구로부터 자극을 받으며 스스로 배워 나가야 하는 곳입니다. 대학이란 주어진 교육을 받는 장이라기보다 스스로 자신을 교육해 나가는 자기 교육의 장입니다.



도쿄대생 중에는 두 부류가 있는데, 그 하나는 이런 환경에 바로 적응해서 당황하기는커녕 오히려 그것을 즐기고, 위에서 그냥 내려주기만 하는 교육을 스스로 거부하고 대학 수업에 제대로 출석하지는 않지만 열심히 자기 교육에 몰두하기 시작하는 유형입니다. 주목할 만한 학생은 대체로 이런 유형에서 나옵니다.」 (p.66)


「어린이에게 자극을 지나치게 많이 주면 울거나 신경증적인 증상을 보이는데, 젊은이나 성인도 마찬가지여서, 이 책에 따르면 "의미 있는 출력을 뽑아내기 전에 입력을 종합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합니다. 입력과 출력사이에 '동화'의 시간을 두라는 것입니다. 저자는 "나는 종종 공부를 지나치게 많이 하는 학생에게 밖에 나가 그냥 잔디밭에 뒹굴거나 유유히 흘러가는 구름을 올려다보라고 말한다"라고 쓰고 있군요. 물론 그런 것도 필요하겠지요.

또 한 가지 저자가 말하는 것은, 이건 뤼벤 하레크에게서 인용한 글인데, "자라나고 있는 신경계에 줄 수 있는 최선의 교육은 이미 알려진 오감을 전부 자극하는 교육이다. 단 하나, 혹은 겨우 두 개의 감각만 집중적으로 훈련한 인물은 잘 돼야 가련한 인간 부품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p.118)


「여러분도 지금 자의식 과잉일 겁니다. 스무 살 전후 시절이란 대체로 자의식 과잉이게 마련입니다. 그리고 지나친 자의식 속에서 모종의 광기와 같은 욕망을 품고 모종의 열병을 앓는 겁니다. 그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며, 만약 그런 것을 전혀 겪지 않는다면 차라리 그게 병이겠지요. 그런 욕망이나 열병이야 말로 인간에게서 활력의 바탕이 되는 것이며, 발레리도 그랬듯이 그것이야말로 한 사람의 개성을 만드는 것입니다.

발레리는 정확성이라는 열병을 앓은 결과 문학도 철학도 다 내버리고 말았습니다. '정확성이라는 급성병'에 걸린 사람이라면 여러분 중에도 많을 겁니다. 머리깨나 좋다는 젊은이는 '정확성이라는 급성병'에 걸리는 경우가 많지요. 이 병에 걸리면 정확하지 못한 것을 말하는 사람을 모두 바보로 봅니다. 자신이 뭔가를 말해야 할 떄는 철저히 정확한 것을 말하려고 하기 떄문에 결국 아무 말도 못하게 됩니다. 글을 쓸 떄도 뭐든 정확하게 말하려고 하는 나머지 유보조건이 지나치게 많은 글을 써서 다른 사람은 통 알아먹지 못하는 글밖에 쓰지 못하게 됩니다.

이 세상에는 '정확성이라는 급성병'에 걸리지 않고서는 할 수 없는 일도 있지만, 그 병에 걸려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도 있습니다. 정확성이라는 것은 시간과 상황에 따라 필연적으로 정해집니다. 시간과 상황을 무시하고 필요 이상의 정확성에 연연하는 것은 무의미할 뿐만 아니라 강박신경증(포비아)의 일종이며 병이 아닐 수 없습니다.」 (p.147)


「시는 뭐니 뭐니 해도 음성언어로 이루어진 작품이므로 번역을 하면 그 뉘앙스가 다 사라져 버립니다. 번역을 해서 남는 것은 문자언어가 가진 의미작용뿐이며, 이를테면 잘해야 2,3할밖에 남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이는 그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금방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시를 번역해서 이해한다는 것은 절대로 불가능한 일입니다.」 (p.152)


「읽고 싶은 책을 다 읽는다는 건 애초에 불가능한 일입니다. 어느 정도에서 포기해야 합니다. 읽고 싶은 책을 전부 읽은 사람은 세상에 한 사람도 없습니다. 모두들 머릿속에 어중간한 지식을 채운 상태로 출항합니다. 애초에 그럴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고 초조한 마음을 조금이나마 가라앉힐 수 있었던 것은 세월이 더 지나서였습니다.」 (p.201)


2004.10.20
2004/10/20 05:06 2004/10/20 05:06
TAGS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Trackback RSS : http://www.fallight.com/rss/trackback/48

Trackback ATOM : http://www.fallight.com/atom/trackback/48


« Previous : 1 : ... 728 : 729 : 730 : 731 : 732 : 733 : 734 : 735 : 736 : ... 768 : Next »